날쌘도리

[리뷰] 구글 크롬캐스트3 언박싱 본문

리뷰

[리뷰] 구글 크롬캐스트3 언박싱

날쌘두리 2019. 6. 13. 22:09


작년에 이어서 티빙을 열심히 쓰는데 뭔가 보는 것은 귀찮다는 것을 느꼈다. 핸드폰으로 보면 눈도 나빠지기 때문에 뭔가 그랬다. 그렇다고 영화를 자주 보는 것은 아니지만 갈수록 티빙 사용률이 저하됨을 느낄 수 있었다. 그래서 주위에 다른 컨텐츠 이용하는 법을 물어봤는데 몰라서 그냥 다운 받은 것을 미러링하는 것이 어떨까 생각이 들었다.
PC는 키기 귀찮고, TV나 태블릿PC를 이용해서 보는데 HDMI를 통한 노트북 연결이 굉장히 귀찮음을 알 고 있었고, TV랑 태블릿이랑 회사가 달라서 미러링도 어려운 것이 한계점이었다. 그래서 예전부터 구매 의사가 있었지만 2, 3를 기다리다가 이번에 HDMI로 연결하는 3세대 제품을 구매하게 되었다.


판매하는 곳이 많았는데 국내발송처에서 간단하게 구매 다음날 도착한 구글 크롬캐스트 여행갔을 때 이용하면 좋을 것 같은 느낌이 듭니다.

구글 크롬캐스트 3세대를 지원하는 어플이 굉장히 많고, 리뷰를 쓰는 이 시점에도 이밖에도 멜론까지 지원해서 유용하게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결정

개봉하기 전에 읽어보니 어댑터가 국내에 맞긴한데 너무 매뉴얼이 너무 간단하게 되어 있다는 점 정도가 옥의 티라고 할 수 있을 정도입니다.

제품 박스 후면에 간단한 활용하는 것이 표시 되어있습니다.

처음 실물을 보는 구글 크롬캐스트 3세대입니다. 구글 크롬캐스트는 생각보다 크기가 작습니다. 그래서 HDMI 케이블 크기랑 비슷하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휴대성이 좋다고 할 수 있습니다.

구글 크롬캐스트 3세대의 구성품은 본품단말기, 마이크로핀 케이블, USB어댑터, 매뉴얼입니다. 입력장치가 망크로핀인게 조금 아쉽게 한데 그래도 상관없다. 일반 usb전원이면 작동하기 때문에 PC나 usb선만 있어서 전원공급만하면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구글 크롬캐스트를 받자마자 집에 있는 TV와 연결해 업데이트와 사전 테스트를 해보았다.

구글 크롬캐스트의 연결은 HDMI 잭 중개로 와이파이 접속 방식이다. 매뉴얼대로 송출기기에 구글 홈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후 수신기기는 구글 크롬캐스트 단말기를 HDMI케이블과 연결하면 간단하게 연결이 된다.

단만기 전원을 처음 연결하면 업데이트가 이루어진다.

구글 크롬캐스트는 별도의 전원이 필요하기 때문에 어댑터가 있지만 별도 전원은 케이블이 걸리는 번거로움이 발생하기 때문에 대부분 TV나 모니터에는 USB 잭이 있기 때문에 연결이 간단하다. 하지만 그냥 코드가 옆에 있어서 짧은 USB선케이블도 필요 없을 듯 해서 그냥연결했다. 하지만 TV랑 연결해도 상관없이 연결이 된다.

사용한지 3주 정도 되었는데 화질도 깨끗하고 지연없이 이용이 가능하다. 크롬캐스트를 통해 컨텐츠 소비가 용이한다. 음악감상도 좋고, 티빙이나 유튜브도 지연없이 이용이 가능해서 너무 좋다.